
해안가 파도는 약 7초 ~ 12초의 간격 사이클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풍력 블레이드
와 같이 연속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파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경우?
발전기는 돌다. 서다. 돌다. 서다를 반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생산되는 전력 변동폭도
매우 요동치게 되어 상용전력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우리의 기술은 “파도 에너지” 를 분산하여 사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였다.
해안으로 밀려 오는 파도에 의해 “파도 박스” 가 뒤로 밀리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50%는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나머지 50%의 에너지는 무게 추 를 들어 올려 위치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후 “ 파도 박스” 가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바다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에너지 공백이
발생 하게 되고, 이때는 올라갔던 무게추가 낙하하면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로 발전기 회전력
을 공급함으로써 연속적이며,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해진다.
( 이때 낙하 하는 “고 중량의 무게 추” 는 발전기 토오크량 에 비례하여 맞춰진 중량을 갖는다)
※ 1차 회피기동 : 파도가 갑자기 세지거나, 너무 약해서 발전중단이 필요할 때 파도 박스를 상승시켜 발전을 중단 또는 개시하게 된다.


※태풍 발생 시 2차 최종 회피기동 : 상·하 유압실린더로 본체를 들어준 뒤, 수평이동 로울러의 위치를 변경 시킨다 이후 상·하 실린더를 하강시킨 후 “수평 로울러” 로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을 하게 된다. ( 후방 수 십미터 이상 이동 )


현재 사용발전기 개발 중인 발전 시스템 내부

· 특허등록 제 10-2353245 호
“파도력 발전기”
· 특허등록 제 10-2024-0087609 호
“무게 추 파력발전기”
· 기타 : 해외특허 출원
PCT/KR2022/011846호


2030년 까지 약 5년은 지구의 온난화를 중지 시킬 수 있는 마지막 시간이다. 그러나 현재의
대한민국은 G20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재생 전력 발전 비율 을 가지고 있다.
만약 우리가 지구온난화를 막지 못한다면? 인류 전체의 생존을 장담할 수 없게 된다.

15년간의 개발 여정
우리는 2009년부터 파도 발전기 개발을 시작해서 현재까지 약 15년간의 개발 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시제품 7개. 현장 실험 5회를 거처서 파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하나 하나씩 이해하고, 개선해 왔습니다.
우리는 현장 실험을 통한 경험으로 쌓아온 기술을
바탕으로 완벽한 상용 발전기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