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 발전기
해안으로 밀려오는 수평파도의 전진 과 후진으로 발생하는 유체의 운동 에너지 로 “그린전력” 을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

그린전력은 “풍력발전” 과 “태양광 발전” 에 의해서 대부분 생산되어지고 있다. 문제는 “바람” 과 “햇빛” 은 변동성이 매우 큰 에너지원이다. 이로 인해 재생 전력의 최대 난제인 “간 헐 성” 문제가 발생 한다.

1. 태양광 발전은 비오는 날, 구름이 많은 날, 을 제외한 날의 주간에만 평균 3.6 시간만 발전이 가능하다.
2. 생산과 수요의 불일치로 전력 수요 가 많은 저녁 시간 대비 전력생산은 낮에만 가능하다.
3. 풍력발전은 계절적 영향을 받는다 봄. 겨울에 전력 생산량이 편중되어져 있고, 입지 선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러나 “파도 발전기” 는 는 24시간 가동이 가능하고, 바람의 영향도 받지 않아 재생전력의
”간헐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기타 장점
1. 전체 국가의 85%는 해안선에 접하고 있어 입지 확보가 쉽다.
2. 대도시의 70%는 해안가에 위치하여 대규모 송전에 유리하다 ( 송전 손실율 30% )
3. 파도는 자연에너지원 중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다.
4. 아직까지 미개척 에너지 분야이다.
일반적인 파력발전 시스템 과 의 차이점
전체 파력의 85%는 “공기 부유체 파력발전기” 타입 이다 ( 바다위에 떠있는 어선을 고정한 뒤, 파도에 의한 흔들림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과 원리적으로 동일한 방식의 발전 시스템이다 )


치명적인 약점 : 이와 같은 부유식 파력은 대부분 연안 공해상에 설치하게 되며,
태풍 발생시 파손을 피할 수 없다.
이 문제는 지금까지 파력발전기 상용화를 가로 막던 최대의 문제였다.
( 태풍 발생 시 회피 기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
EXCUBE 사 의 “파도발전 시스템” 은 기본적인 작동 원리가 부유체 의 상·하 움직임을 이
이용하는 “부유식” 발전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 부유식 파력의 작동 원리 )
기존의 부유식 파력이 부유체 안에 공기를 채우는 반면,
우리의 “파도 발전 시스템” 은 “파도 박스” 안에 바닷물을 채우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대비 유체의 밀도가 890배 높기 때문에 생산 가능한 전력량이 최소 30배 이상 차이가 발생 한다.

에너지 전환 방식에 있어서도 “부유식 파력” 은 “부유체” 의 상·하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에너지량 이 매우 작다.
( 평균 약 40센티 안팎의 파도 출렁거림을 이용한다 )
반면, 당사의 발전 방식인 “파도 박스” 는 전면만 개방된 구조로 해안으로 밀려오는 파도를
박스안 에 가둔 뒤, “파도 박스”가 후진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로 전력을 생산 한다.
이때, 유입되는 파도의 속도는 초속 1m/sec ~ 3m/sec & 이동 거리는 약 5미터 이상으로,
에너지량 은 유체 속도의 3제곱배로 증가하므로 에너지 총량이 매우 커서, 단위 면적당
전력 생산량이 “부유식 파력” 대비 매우 높다.


태풍 발생 시 회피기동 : 태풍 발생시 발전기 전체는 안전한 후방지역으로 후진이 가능하며,
파도 박스의 상. 하 작동으로 발전 개시와 발전 중단을 조정하게 된다. ( 발전 개시 와 중단이 20초 안에 작동이 가능하다 /
파도가 갑자기 높아지면 파도 박스를 들어 올려 즉시 가동을 중단하게 된다 )
※ 전기 생산 실험 동영상의 앞부분은 “고 중량의 회전 추” 를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동영상 과 “고 중량의 회전 추” 없이 전력을 생산할 때는 전력 변동차가
매우 크게 된다.